IT/APP 브릭스미스 2018. 9. 21. 08:27
카카오톡 대화내용 백업일상 생활 속에 [카카오톡]은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카카오톡은 메신저 기능을 넘어 업무를 볼때도 필수 요소로 사용 되고 있는 만큼, 간혹 중요한 내용은 백업을 해야되는 일이 종종 생기고는 하죠.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이폰 IOS 기기에서 카카오톡 대화내용을 백업하여 이메일로 보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아이폰에서 카톡 대화내용 이메일로 보내기시작 전, 해당 기능은 IOS 12, 카카오톡 8.0.1 버전을 기준으로 제작 되었습니다.1. 카카오톡(카톡) 앱을 실행, 대화내용 백업을 희망하는 채팅창으로 이동, 우측 상단에 [메뉴] 버튼을 누릅니다. 2. [메뉴] 창 우측 하단 [톱기바퀴(설정)] 아이콘을 누릅니다. 3. 다음과 같이 [채팅방 설정] 화면이 뜨게 ..
더 읽기
IT/APP 브릭스미스 2018. 9. 19. 07:31
카카오톡 메세지 삭제 기능의 추가카카오톡에서 드디어 상대방에게 보낸 메세지 삭제 기능을 추가 했습니다.해당 기능은 이미 타 메신저 앱 등에서는 지원 중인 기능이라 유독 카카오톡이 이러한 업데이트에 발빠른 대응을 못한 부분 중 하나죠.대화내용 삭제 기능은 많은 이용자들이 요청한 요구사항으로, 카카오톡 버전 8.0 이상 부터 지원을 하게 되었습니다. 카카오톡 모든 대화내용에 적용이 가능할까?카카오톡 메세지 삭제 기능은 비교적 쉽게 가능 하지만, 과거 모든 대화내용을 삭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삭제가 가능한 대화내용 메세지는 5분 범위 내에서만 삭제가 가능하다고 합니다.이에 카카오 측에선 삭제기능이 ‘메세지 발성을 완료 한 후, 발신자의 발송 실수를 보완 하는 데 초점을 뒀다’고 밝혀, 덕분에 해당..
IT/APP 브릭스미스 2018. 9. 5. 01:51
IOS 및 카카오톡[사진] SKT 인사이트IOS 운영체제 기반인 아이폰에서 카카오톡을 사용하다 보면 자주 액세스 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 명령을 반복해서 검색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캐시 메모리]가 누적되게 됩니다.해당 [캐시 메모리] 혹은 [캐시 데이터]는 직접 삭제를 하지 않은 이상 따로 정리되지 않죠.아이폰 사용자 대부분이 매번 느끼는 용량 부족 현상을 해당 캐시 데이터 정리로 조금은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며, 이를 모르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카카오톡이 아이폰에서 차지하는 용량이 꽤 많은만큼, 카카오톡의 캐시 데이터를 정리하게 되면 용량 확보가 가능하며 해당 방법은 의외로 간단 합니다.또한, 캐시 데이터를 삭제한다고 하여 카카오톡 내의 데이터가 전부 삭제되는 것이 아니기에 안심하고 삭제해도 ..
IT/APP 브릭스미스 2018. 8. 8. 16:21
카카오톡 친구차단카톡 친구차단은 누구나 한번 쯤 해본 적이 있을 텐데요.관계가 나빠져서도 있겠지만 카톡의 특성상 연락을 하는 ‘친구’ 관계가 아닌 이들까지 전화번호가 저장되어있다면(Ex.택배기사, 도시가스 점검사 등) 자동으로 추가 되기 때문이죠.해당 문제와 관련 [카톡 친구 삭제 방법]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 합니다.[APP] 카카오톡 친구 삭제 및 카톡 친구 삭제 확인 방법 카톡 차단 확인 유무한번 쯤 사용해본 차단기능을 역으로 상대방이 나를 차단했는 지 확인 할 방법은 없을까요?예전에는 지인 혹은 가족들을 이용해 빈 단톡 방을 만들고 본인의 차단 여부가 궁금한 상대를 초대하여 접속 메세지를 확인 한 방법으로 카톡 차단 유무를 체크 했습니다. 하지만, 카톡 버전이 업데이트되며 초대하는 ..
IT/APP 브릭스미스 2018. 8. 8. 12:57
카카오톡2010년에 첫 출시를 시작한 국내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은 현재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사용되는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입니다.카카오톡, 줄여서 [카톡]이라고도 불리는 해당 어플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사용하고 있을 텐데요.[출처: KAKAO]현재 문자 메세지 서비스 뿐 아니라 보이스톡, 사진, 영상, 음성 메일 서비스, 기프트 콘 그리고 카카오 페이 또는 카카오 뱅크로 까지 연동이 되는 만능 애플리케이션이 되어 있죠.하지만, 카톡 역시 불편한 사항은 존재 합니다. 바로, 전화번호나 카카오 게정 두 가지를 기반으로 계정과 주소록을 관리하는 해당 앱 특성상, 주소록에 저장 된 모든 이들을 ‘친구’라고 가정하여 자동 업데이트를 시키는 것 입니다.따라서 본인이 원치않게 자동적으로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