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 계산기, 4대보험의 종류와 자동계산기로 쉽게 계산 하는 방법
- INFORMATION/생활 정보
- 2018. 8. 10. 01:33
4대보험
4대 보험은 꼭 가입해야 하는 사회 제도로 [1] 국민연금보험, [2] 국민건강보험, [3] 고용보험, [4] 산재보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4대 보험은 직장인 뿐만 아니라 알바생, 일용직 근로자 역시 적용이 됩니다.
그렇다면 각각의 보험은 어떤 것 일까요?
[1] 국민연금보험과 국민건강보험
국민연금보험과 국민건강보험의 가입 대상은 주 15시간, 월 8일 또는 60시간 이상 근무를 하는 근로자로, 가입 대상 구분의 유일한 기준은 근로시간 뿐 입니다.
[2] 고용보험
고용보험의 가입 대상은 1달을 채우지 않은 계약직 혹은 파트타이머 입니다.
[3] 산재보험
산재보험의 경우 장사를 하는 사장님이 가입을 하는 것 입니다.
4대보험, 얼마나 지불해야 되는 것일까?
4대보험의 비용은 사업주와 근로자가 반반씩 부담하며, 나의 4대 보험 지출 비용을 쉽게 계산 할 수 있는 자동 계산기가 존재 합니다.
4대보험 계산기를 통해 나의 급여에서 얼마나 공제가 되며, 실수령 금액은 얼마인 지를 쉽게 알 수 있죠.
그럼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할게요.
4대보험 자동계산기
4대보험료 모의계산을 제공하는 사이트는 두가지 방법으로 접근 가능 합니다.
네이버 검색을 통한 자동계산기 링크로 이동하는 방법과 국민연금 사이트에서 자동계산기 사용을 하는 방법이 있죠.
[국민연금공단]을 이용하는 방법
[1] 우선 국민연금공단 사이트로 접속을 합니다.
국민연금공단 사이트는 아래 링크를 통해 이동 가능 합니다.
[2] 메인화면에서 [자주찾는 민원서비스]를 클릭, [4대보험 간단계산]을 클릭 합니다.
[3] [4대보험 간단계산]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창이 뜨며, 해당 계산기로 4대보험을 자동 계산 할 수 있습니다.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을 이용하는 방법
[1] 포털사이트에서 [4대사회보험료 모의계산]을 선택, 이동 합니다.
해당 사이트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바로 이동 가능 합니다.
[2] 이동을 하면 다음과 같이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으로 나뉘어 각자 모의 계산을 할 수 있도록 분류되어 있습니다.
[3] 국민연금의 경우 기준 소득월액에서 보험료 9%가 결정되며, 근로자 및 사업주가 4.5% 씩 반반 부담하게 됩니다.
만일 본인의 월 급여가 2,000,000원이라 가정했을 경우 총 연금보험료는 180,000원이며 부담금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90,000원 씩 부담하게 됩니다.
[4] 건강보험의 경우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로 구분이 되며, 보험료율은 건강보험료 6.24%와 장기요양보험료 7.38% 입니다.
해당 보험 역시 근로자와 사업주가 반반 부담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월 급여 2,000,000원이라 가정할 경우 건강보험료의 총액은 124,800원이며 부담액은 각각 62,400원이 되죠.
또한 장기요양보험료의 총액은 9,200원이 되며 각자 부담액은 4,600원이 됩니다.
[5] 고용보험의 경우 150인 미만기업의 경우 월 급여 2,000,000원 기준 총액 31,000원이 지출되며 근로자의 부담액은 13,000원이 됩니다.
[6] 마지막으로 [산재보험]의 경우 위험성 및 사업장별로 보험료율이 세분화 되어 있어, 모의계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자 그렇다면 월급여 2,000,000원 기준, 실급여는 얼마가 될까요?
월 급여: 2,000,000원
국민연금 [4.5%]: -90,000원
건강보험료 [3.12%]: -62,400원
장기요양보험료 [7.38%]: -4,600원
고용보험 [0.65%]: -13,000원 (150인 미만기업 기준)
실 급여: 1,830,000원
실 급여는 4대보험의 비용을 차감한 1,830,000원이 되는 것 입니다.
지금까지 4대보험 계산기, 4대보험의 종류와 자동계산기로 쉽게 계산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해당 계산기를 이용하면 누구나 쉽게 본인의 실수령액을 계산할 수 있으며, 본인의 급여명세서 내역과 동일한 지 한번 확인 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